본문 바로가기

[Study]13

[UNREAL] 구글 맵스 플랫폼 API를 활용해보자 Cesium Plugins 안녕하세요. 누리 아카이브입니다. 오늘 포스팅은 구글의 오픈스트리트맵을 가져와 언리얼엔진 레벨에 배치할 수 있는 Cesium 플러그인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합니다. 구글 오픈스트리트맵은 루미온, 트윈모션, 블렌더 등 여러 프로그램에서는 이미 API 개념으로 많이 사용하곤 했습니다. 이름을 보시면 느낌이 오셨겠지만 Google에서 서비스하는 Maps 데이터입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언리얼 작업을 하다보면 임의로 만들어진 가상의 배경이 아니라 실제와 가까운 오픈스트리트 맵을 뒷배경으로 깔아놓는 경우가 있는데요. 그전에는 Blender의 GIS add-on을 사용해서 가져오곤 했었습니다만 지금은 Cesium 플러그인으로 바로 가져옵니다. 유튜브에서 Cesium 플러그인과 관련된 영상이 꽤 근래에 업로드된 것으로.. 2023. 7. 28.
[B] Origin 옮기기 오늘은 저만의 워크플로우를 간단히 소개해볼까 합니다. Blender로 모델링 작업을 하다보면 Object의 Origin을 옮겨야하는 일이 종종 발생하는데요. 저같은 경우에는 원점으로 이동시킨 후 이후 작업을 진행합니다. 3D 커서를 옮기는 방법은 아주 간단하지만 초심자에게는 Origin을 옮기는 일도 만만치않게 골치아픈일입니다. 짧은 영상과 함께 남겨놨으니 보고 따라해보시면 좋겠습니다. 저는 이번 작업에 제가 자주쓰는 Asset Creation Toolkit이라는 Add-On을 사용했습니다. 순서 1. 3D 커서 원점으로 옮기기 Shift + S 단축키를 사용하여 원점으로 이동 2. Asset Creation Toolkit을 사용하여 Origin 이동 아주 간단하죠? 영상 첨부하겠습니다. 제 스터디 블로.. 2023. 7. 18.
[B] 나만의 블렌더 초기설정 안녕하세요. 누리 아카이브입니다. 일 잘하는(?) 일꾼이라면 높은 능률을 위한 자기만의 레이아웃이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코워킹을 위해서라면 디폴트 설정으로 하는 것이 상대적으로는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만 적정한 수준에서의 자기만의 레이아웃은 나에게도 아주 좋은 효과가 있을 것 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저만의 몇가지 간단한 초기설정들을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제 포스팅을 봐주시는 분들께서도 잘 아시겠지만 블렌더를 설치하고 사용한다고해서 반드시 이렇게 따라하셔야할 이유는 없습니다. 그냥 '아~ 이 친구는 이렇게 해놓고하는구나' 정도로 봐주시면 좋겠습니다. 1. Pie menu on Drag 오? 얘는 이거 뭔줄알고 설정하지? 하시는 분들이 좀 있으실듯 한데요. 저는 2가지 이유로 이 메뉴를 사용합니다. 1) .. 2023. 7. 13.
[RC] 리얼리티 캡쳐 1.2.2 릴리즈 안녕하세요 누리 아카이브입니다! 오랜만의 포스팅인데요 다행히 잘 살아 숨쉬고 있었습니다 ㅎ. 요즘은 초경량비행장치(드론) 1종 취득을 위해서 학원엘 다니고 있습니다. 원래 4종 수료증가지고 소소하게 드론 생활을 즐기며 살아왔으나, 큰 놈들(드론)가지고 더 재미있는 스캔생활을 즐기기 위해서는 1종 자격증이 필요하다고 생각했고 지금이 적절한 시기라고 생각해서 바로 수강신청하게 됐습니다. 드론 1종 취득 스토리는 조만간 정리해서 업로드하겠습니다. 각설하고, 제가 가장 좋아하는 프로그램인 Reality Capture가 며칠 전 Ver 1.2.2 릴리즈되었습니다. 같이 포토그래메트리 공부하는 친구를 통해서 알게되었고 패치 노트에 들어가보니 오~ 이거는 Ver 1.2.2가 아니라 Ver 1.3쯤 되어보이더라구요? .. 2023. 6.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