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누리 아카이브입니다.
일 잘하는(?) 일꾼이라면 높은 능률을 위한 자기만의 레이아웃이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코워킹을 위해서라면 디폴트 설정으로 하는 것이 상대적으로는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만
적정한 수준에서의 자기만의 레이아웃은 나에게도 아주 좋은 효과가 있을 것 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저만의 몇가지 간단한 초기설정들을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제 포스팅을 봐주시는 분들께서도 잘 아시겠지만 블렌더를 설치하고 사용한다고해서
반드시 이렇게 따라하셔야할 이유는 없습니다.
그냥 '아~ 이 친구는 이렇게 해놓고하는구나' 정도로 봐주시면 좋겠습니다.
1. Pie menu on Drag
오? 얘는 이거 뭔줄알고 설정하지? 하시는 분들이 좀 있으실듯 한데요.
저는 2가지 이유로 이 메뉴를 사용합니다.
1) Viewport Shading
디폴트 설정에서는 Viewport Shading 모드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z 단축키를 누른 후 열리는 파이메뉴에서
드래그해서 변경하곤 했었는데요.
Pie Menu On Drag 설정을 체크하게되면 z 단축키를 한번 누르는 것 만으로도 와이어프레임 모드로 바로 변경할 수
있게됩니다.
그렇다고해서 무조건 와이어 프레임 모드로 변경되는 것은 아니라 z 단축키를 꾹 누른채로 마우스를 이동하면 디폴트
설정대로 다른 Shading 모드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당연히 어색하시겠지만 어느정도 사용하시게되면 익숙해져서 유용하게 사용하실거에요.
2) Fly Navigation
저는 블렌더 작업을 하다보면 Fly Navigation(Shift+`) 기능을 아주아주 자주 사용합니다.
언리얼이나 루미온 등등 제가 사용했던 리얼타임 렌더러에서 이동하는 것처럼 말그대로 날아다닐 수 있어서
복잡한 구조의 모델링 데이터를 다룰때 이동하기가 정말 수월합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것과 동일하게 기존 단축키(Shift+`)가 아니라 (`)키만 눌러도 적용되기때문에 정말 편합니다.
솔직히 강추입니다.
2. 실행취소 단계 최대로
위 캡쳐화면은 디폴트값은 아니고 최대로 설정해놓은 상태입니다.
디폴트는 36인가 그런데요 최대 256단계까지 설정이 가능합니다.
예... 필요합니다. 이건 꼭 설정하시는게 좋아보입니다.
3. Unit 단위 변경
뭔 뜬금없이 밀리미터야?하실수도 있겠으나
원래 밀리미터 단위로 그려진 오브젝트들을 주로 다뤄왔기도하거니와
모듈식?이 아니라 정확한 치수에 기반한 솔리드 모델링을 블렌더에서 하려고 추구하는 소기의 목표가 있기때문에
유닛 단위를 밀리미터로 설정했습니다.
4. Status Bar
Status Bar 메뉴에서
1) Scene Statistics
2) System Memory
3) VIdeo Memory
4) Blender Version
이렇게 4가지 체크해줍니다.
일단 이정도까지가 제가 블렌더를 사용할때 가장먼저하는 초기 설정들이구요.
블렌더를 더 잘(?) 다룰 수 있게되면 이 포스팅에 추가로 적어나가겠습니다.
제 스터디 블로그를 찾아주시는 숙련자 분들의 소중한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또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블로그 게시물 검색해주시거나 댓글 남겨주십시오.
감사합니다.
'[Study] > Blend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B] Origin 옮기기 (43) | 2023.07.18 |
---|---|
[B] FBX Import 후 블렌드 모드 이상현상 해결방법 (4) | 2023.04.12 |